티스토리 뷰


몽골제국 유럽 파발마 이동속도
1일 최대 352km
* 30km마다 설치된 역참을 통해 최고속도 릴레이로 달렸음
* 중국 북경에 있는 오고타이 칸이 바투의 서신을 받아보는데 2주가 걸렸음

몽골 바투의 유럽 원정군 행군 속도
1일 최대 151km
* 러시아 정벌 당시의 속도
* 러시아 지역의 중소국들이 겨울을 믿고 버텼으나 속도가 전혀 줄지 않았음

몽골 징기스칸의 기병 행군 속도
1일 최대 134km
* 호라즘 제국 정벌 당시의 속도
* 이 때문에 호라즘 왕궁에서는 사방에서 오는 파발이 빗발쳤음

중국 공산당 홍군 대장정 행군 속도
1일 최대 130km
* 강서성~산서성 총 12000km 이동
* 출발 30만명, 도착 3만명

임진왜란 당시 파발 이동속도
1일 최대 105km
* 부산~서울까지 산을 넘어 쉴새없이 달린것
* 경상좌수사 박홍이 띄운 파발로, 조정에서는 임진왜란 발발 4일 후에야 전쟁이 난것을 알았음

엘리자베스 여왕 당시 왕실의 파발 속도
1일 최대 96km
* 파발: 공문을 급히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한 역참 또는 그 제도

고구려 모본왕의 개마무사 행군 속도
1일 최대 72km
* 북평(베이징) 공격 당시 속도

2003 미합중국, 작전명 충격과 공포
지상군기동 10일 최대 60km
* 후세인정권 20일만에 붕괴

부르고뉴 공작의 기사단 행군 속도
1일 최대 59km
* 순수 기병으로만 행군
* 5일 동안 이 속도를 유지함

1476년 스위스 보병대 행군 속도
1일 최대 45km
* 취리히에서 베른까지 140km를 3일만에 주파
* 낙오자 전체 병력의 20%

대한민국 육군 특전사 8박 9일 천리행군
1일 최대 44km

독일 소련침공, 하인츠 구데리안의 전격전 진격속도
1일 최대 42km

나폴레옹의 프랑스 육군 행군 속도
1일 최대 40km
* 오스트리아 공격 당시

붉은군대 바실레프스키, 8월 폭풍작전 진격속도
1일 최대 35km

카이사르의 로마 군단병 행군 속도
1일 최대 33km
* 로마 정예병의 장비, 군장 무게 총 40kg
* 이테르 막시뭄(최대 행군) 때의 속도

1944~45 벌지대전투, 조지 S 패튼의 기동속도
1일 최대 30km

한국전쟁 국군 제 1사단 평양 진격속도
1일 최대 25km
* 당시 미 제 1기병사단의 진격속도 18km

알렉산더의 마케도니아 보병 행군 속도
1일 최대 24km
* 페르시아 정벌 당시

히데요시군 부산~한양 진격속도
1일 최대 22km
* 부산에서 한양까지 20일만에 주파

1950 중공군 개입초기 진격속도/1951 중공군 5월 공세 기동속도
1950: 1일 최대 20~30km
1951: 1일 최대 15km

1992 다국적군 노먼 슈워츠코프, 작전명 사막의 폭풍
지상군기동 1일 최대 16km
* 이라크 4일 만에 항복

사자왕 리처드의 기사단 행군 속도
1일 최대 16km
* 3차 십자군 원정 당시

1950 한국전쟁 발발 당시 인민군 남침 진격속도
1일 최대 10km
'여러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가 둥글다는 몇 가지 증거 (0) | 2018.07.09 |
---|---|
●'블루투스'라는 이름의 유래. (0) | 2018.07.04 |
●세계 역사속의 식민지 영토 (0) | 2018.06.21 |
●중국어를 배우면 머리가 좋아집니다 (0) | 2018.06.15 |
●보통, 사람들이 흔히 알고있는 욕의 어원들 (0) | 2018.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