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SMALL

연어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연어(鰱魚)라 하였고 <세종실록>에서는 연어(年魚)라 했으며 <난호어목지>에서는 연어(年魚)의 속명을 연어(鰱魚)라 했고 <전어지>에서는 계어(季魚)라 하였다.
연어는 북태평양과 북대서양에 사는 회유어이며 산란기가 되면 자기가 태어난 강 상류로 올라가서 알을 낳고 일생을 마친다. 한국에서는 가을이 되면 경상북도 북쪽 동해로 흐르는 하천수계에 산란하기 위해 바다로부터 올라온다.
연어가 정확하게 자기가 태어난 강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은 태어난 강물의 냄새를 기억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는 연어를 건연어나 염연어 등으로 가공하였고 알은 젓갈로 만들어 먹었다. 오늘날에는 훈제품으로도 인기가 있다.
연어하면 한국에는 없는 생소한 외국 물고기처럼 일반화되지 않은 생선이었으나 우리나라 일부 하천에서는 오래전부터 먹어오던 생선이었다.
반응형
LIST
'여러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의 시작과 자연 발생하는 술들 (0) | 2023.08.05 |
---|---|
●각 한자 부수의 분류와 명칭 (0) | 2023.06.29 |
●[스압] 전 세계 영화 흥행 순위 Top100.chitchat (2018년도 기준) (0) | 2023.06.10 |
●타락죽과 한국 우유의 역사 (0) | 2023.06.07 |
●플라스틱마다 표시된 알파벳의 의미 (0) | 2023.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