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SMALL

명칭은 perpetual stew, 다르게는 Hunter's stew 혹은 Hunter's pot 라고 불리는 음식. 중세시대 여관에는 무조건 있던 음식으로, 영원히 줄지 않는 스튜라고 저런 이름이 붙었다.
그 이유는 24시간 365일 끓이면서 내용물이 줄어들 때마다 물과 그때 그때 얻은 재료를 넣어 보충했기 때문.
향과 비쥬얼은 흔히 말하는 꿀꿀이죽이나 개밥 수준이긴 했지만 계속 끓이다 보니 재료들의 깊은 맛이 우러나와서 의외로 맛은 좋았다고 한다.

재료는 물 또는 맥주, 야채로는 양파, 당근, 감자, 마늘, 순무 등등이 들어갔고, 고기로는 갓 사냥한 토끼나 사슴, 조류 등등이 들어가는게 기본이지만 당시의 재료 상황이나 지역 특산물에 따라 내용물은 달라졌으며 먹을 수 있는건 다 넣어보는 그런 음식이였다. 염장고기나 키우던 닭이나 소세지 등을 넣어 끓이기도 했고 콩이나 잎야채들을 넣어 끓이기도 하였다.

다만 계속 같은 냄비에서 끓이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문제가 있긴 한데 애초에 중세는 위생 개념이 부족하던 시대라
저 정도면 시대 평균. 그래도 오래끓이면 맛이 좋아지는 것은 사실이라 얼마나 오래 끓였나로 가게의 위상이 달라지기도 하였다. 어떤 여관의 경우 수 십년동안 냄비의 불을 끈 적이 없다 홍보했다고...


반응형
LIST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