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헌상 기록으로는 조선시대 중엽에 식해가 등장한다. 1600년대 · 에는 생선에 곡물과 소금을 합쳐서 만든다는 내용이 있고 에는 우리나라 동쪽 바닷가 사람들이 가자미식해를 만들어 먹는다고 했다. 이외에도 · · 등에 여러가지 식해가 등장한다. * 유목문화에서 농경문화로 접어들면서 모자란 단백질 섭취를 위해 생선을 저장, 발효시키면서 먹었을 것이다. * 국내 여러 지방에서 다양한 식해를 만들어 먹었다. 명태 식해, 오징어 식해, 조개 식해, 횟대 식해, 조기 식해, 갈치 식해 등등. * 함경도에서는 식해를 저스라고 하였다. 저스는 젓의 사투리로 추정된다. - 출처 : 허영만의 26편 중 -

콩의 원산지는 여러 곳으로 추정된다. 중국, 만주, 한반도. * 콩은 4천년 전부터 재배했다고 추정하고 있다 * 콩의 40%는 단백질인데 식물성 단백질임에도 불구하고 계란, 우유, 쇠고기 등 양질의 동물성 단백질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콩은 밭에서 나는 고기다. * 콩의 단백질에는 포화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이 전혀 없다. 이를 근거로 미국 FDA에서는 하루에 콩단백질 25g를 섭취하면 관상동맥질환이 예방된다는 문구를 콩 제품에 표시할 수 있게 됐다. * 미국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의 머셔 박사팀은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콩단백 음료를 매일 복용케 했더니 콜레스테롤 수치가 15% 이상 줄었다. * 콩의 기능 중 빼어난 것은 혈당치를 조정하고 안정시키는 구실을 하는 것이다. * 자..

https://killerwizard.tistory.com/m/596 어제, 졸려보이는 눈을 드디어 없앴다.사촌언니가 일하시는 성형외과!! 중간에 다른 일을 하셨다가 다시 성형외과로 가셨다는 ㅎ 옛날부터 졸려보이는 눈을 없애겠다고 결심했었는데 십 년이 지나도록 못 없앤 탓에 ㅋㅋ 중간에 한 killerwizard.tistory.com실밥도 풀고 눈 밑 테이프 제거를 위해 며칠 후인 오늘 다시 간 병원. 맨 처음 갔을 때도 그랬고 이번에도 사진 촬영을 하더군요 며칠 전 왔을 때도 오늘도 기다리는 동안 잡지를 읽은!! 인생에서 두 번째로 수술대에 올라갔던 날이었네. 흐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