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남자가 의사를 찾아와서 상담을 받고 있었다.남자: "선생님, 저는 100살 까지는 꼭 살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제가 100살까지 살 수 있을까요?"의사: "혹시 담배 피우십니까?"남자: "아니오."의사: "술은 하시나요?"남자: "아니오, 전혀 마시지 않습니다."의사: "음식 드시는 건 어떻습니까?많이 드시는 편입니까?"남자: "먹는 걸 딱히 즐기지도 않고많이 먹지도 않습니다."의사: "잠은 늦게 주무시나요?"남자: "아니오, 잠자리에는 일찍 듭니다."의사: "혹시 여자친구가 많았습니까?"남자: "거의 없었습니다."의사: "그러면 당신은 도대체 무엇 때문에그렇게 오래 살고 싶으신 겁니까?"- 위트[wit]상식사전 / 이동준 옮김 -지금이라도 작고 사소한 것부터 가슴 뛰는 일을 찾아보세요.- 삶의 ..

"뭘로 보이시나용?"이 사진은 거리 시장에서 장을 보고 있는 엄마와 아기의 모습으로 보입니다. 엄마는 핑크색 줄무늬 원피스를 입고 손에는 채소를 들고 고르고 있으며, 한 손으로는 투명한 비닐가방을 들고 있는데 그 안에 아기가 들어가 있습니다. 아기는 천으로 된 드레스를 입고 있고 뭔가를 입에 물고 있어요.전체적으로 1980년대나 90년대쯤 유럽이나 미국 도시 거리에서 찍힌 것으로 보이는, 다큐멘터리 혹은 스냅사진 느낌이 납니다. 장면은 다소 유쾌하고 현실적인데, 아기를 비닐가방에 넣고 다니는 모습이 지금 기준에선 조금 충격적이거나 독특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이 사진은 실제로 꽤 유명한 클래식 사진 중 하나일 수도 있어요. 혹시 이 사진을 어디서 보셨는지, 아니면 다른 느낌을 알고 싶으신 건지도 말씀해 ..

명칭은 perpetual stew, 다르게는 Hunter's stew 혹은 Hunter's pot 라고 불리는 음식. 중세시대 여관에는 무조건 있던 음식으로, 영원히 줄지 않는 스튜라고 저런 이름이 붙었다.그 이유는 24시간 365일 끓이면서 내용물이 줄어들 때마다 물과 그때 그때 얻은 재료를 넣어 보충했기 때문.향과 비쥬얼은 흔히 말하는 꿀꿀이죽이나 개밥 수준이긴 했지만 계속 끓이다 보니 재료들의 깊은 맛이 우러나와서 의외로 맛은 좋았다고 한다.재료는 물 또는 맥주, 야채로는 양파, 당근, 감자, 마늘, 순무 등등이 들어갔고, 고기로는 갓 사냥한 토끼나 사슴, 조류 등등이 들어가는게 기본이지만 당시의 재료 상황이나 지역 특산물에 따라 내용물은 달라졌으며 먹을 수 있는건 다 넣어보는 그런 음식이였다. 염..
늑대는 암수가 만나면 평생을 간다.다른 이성을 돌아보지 않는다.또 자기 새끼를 끔찍이 사랑하고 가족을 위해 생명을 바친다.그런데 왜 '늑대 같은 사람' 이라는 말이나쁜 뜻으로 쓰일까?그 이유는 바로 자기 '가족만' 챙기기 때문이다. 가족을 챙기기 위하여 주위의모든 것들을 쑥대밭으로 만들고도 태연하다.늑대의 특성을 보면 지금의 사회를 생각하게 된다. 늑대사회라고 할 정도로 자기 가족밖에 모르는 공동체의 회색빛.이제는 그 보다 한술 더 떠 나밖에 모르는 '나만 사회' 로 치닫고 있다.주위에 누가 어떤 어려움을 겪던 상관하지 않고 내 일만 하는, 내 것만 챙기는'나만 사회'우리 사회의 잘못된 모습들...기가 차는 일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소 천 -- 출처 : 따뜻한 하루 -
인류가 바삭바삭한 음식을 좋아한 역사는 알고보면 영장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겉이 딱딱한 곤충이나 아삭한 채소를 먹던 습성이 진화 과정에서 '미각적 유산'으로 전해내려 왔다는 것.'키틴' 성분 겉껍질을 가진 벌레나 곤충이포함된 그들 음식이 우리 입맛에 영향을 주었는데, 씹을 때 나는 '바삭' 소리와 겉은 바삭하고 안은 부드러운 식감을 선호하는 것이 그것이다. 튀김 요리를 생각해보면 된다.그들이 벌레나 곤충을 먹을 때 적응된 소리와 선호하는 식감이 우리 입맛에 그대로 남아있다고 학자들은 해석한다.학자들은 루시와 같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화석의 치아와 턱뼈의 특성을 종합하여 그들이 먹었던 음식들을 미루어 짐작한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주로 야생 과일, 동물사체, 열매, 식물뿌리, 벌레, 곤충 등을 먹었다. ..